작성일
2025.04.02
수정일
2025.04.02
작성자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조회수
43

DEA를 이용한 농촌체험휴양마을의 효율성 분석 - 완주군을 중심으로 -

이 연구는 완주군의 농촌체험휴양마을 10개를 대상으로 상대적인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농촌체험 휴양마을은 마을이 갖고 있는 자연환경, 전통자원 등을 활용하여 농촌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농촌체험휴양마을의 상대적인 효율성의 분석은 DEA를 이용하였고, 투입과 산출변수는 직원 수, 체험프로그램 수, 체험시설 면적, 총 방문객, 매출액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DEA 모형 중 투입지 향의 CCR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평균 효율성은 0.7891이며, 10개 농촌체험휴양마을 중 비율적이 60%, 효율적이 40%로 나타났다. 또한 투입 과다분과 투영점을 고려할  때 투입 과다분이 발생하여 향후 농촌체험마을의 특성이나 직원수, 체험프로그램 수, 체험시설 면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직원역량강화, 프로그램과 시설의 효율적 관리와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첨부파일